1. [Git Bash] 실행 후 'git' 입력
$ git

2. 깃 환경 설정하기
깃은 버전을 만들 때마다 그 버전을 만든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.
어떤 버전을 언제, 누가 만들었는지 알 수 있다.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이름"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메일 주소"
만약 깃허브 계정이 여러개라면 계정마다 깃 환경을 따로 설정해야한다.

3. 리눅스 명령어
pwd | 현재 위치 경로 표시 | print working directory |
ls | 파일/디렉토리 확인 | |
ls -a | 숨긴 파일/디렉토리도 표시 | |
ls -l | 파일/디렉토리의 상세 정보도 표시 | |
ls -r | 파일의 정렬 순서를 거꾸로 표시 | |
ls -t | 파일 작성 시간순으로(내림차순) 표시 | |
clear | 터미널 화면 내용 지우기 | |
cd .. |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| |
cd "디렉토리 이름" | 하위 디렉토리로 이동 | |
cd ~ | 홈 디렉토리로 이동 | |
mkdir | 하위 디렉토리 생성 | |
rm | 디렉토리 삭제 | 삭제할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에서 사용 |
rm -r | 디렉토리 안에 있는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함께 삭제 | |
exit | 터미널 창 종료 |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커밋 확인하기 (0) | 2023.11.11 |
---|---|
[Git] 버전 만들기 (0) | 2023.11.11 |
git -f 실수 (0) | 2023.01.10 |
Git(2.38.0) 설치하기 (0) | 2022.10.09 |
Github (0) | 2022.08.15 |
댓글